본문 바로가기
라이프꿀팁

사람들은 잘 모르는 오르는 아파트 찾는 법 2가지

by 카허니 2022. 8. 21.
반응형

첫째, 평단가가 높은 순에서 낮은 순으로 찾기

 

대부분 아파트나 부동산에 투자를 하려고 하시는 분들이 큰 자본금을 갖고서 시작하시는 분들은 거의 없기 때문에

소액투자로 시작을 합니다.

 

그런데 이 소액투자로는 큰 지역들은 들어가기 어렵기 때문에 작은 도시들을 기준으로 찾게 되고 지방을 기준으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평단가가 높다고 해서 무조건 투자금이 많이 들어가는 것은 아니므로 평단가가 높은 순에서 낮은 순으로 찾는 게 좋습니다.

 

가끔 보면 소액 투자하시는 분들 중에서 

돈이 없으니까 하위 입지부터 보시는 분들이 있는데

절대 그렇게 하시면 안 됩니다.

 

우선은 내가 찾는 지역 안에서 가장 좋은 것들부터 보고

안되면 밑으로 가는 형식으로 해야지

처음부터 밑바닥에서부터 시작할 필요는 없습니다.

 

잠깐, 여기서 여러분들이 아파트가 왜 오르는지에 대해서 상승하는 원리를 아셔야 합니다.

그래야만 전체적인 숲을 볼 수 있는 눈이 생깁니다.

 

부동산-가격이-오르는-모습

초보분들이 많이 모르시는 내용인데

꼭 알고 계셔야 하는 내용입니다.

 

이게 어려워 보이지만 굉장히 간단한 원리입니다.

 

지금 현재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 가장 인기가 많은 곳을

A입지라고 하고, 그다음이 B입지, C입지가 있다고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그런데 A, B, C입지가 만약 하락기를 많이 겪으면

가격 차이가 별로 안 나는 경우가 생깁니다.

 

A, B, C 입지의 가격 차이가 별로 나지 않는 가정일 경우에

사람들은 어느 입지에 들어가서 살고 싶을까를 고려해보았을 때

당연히 A입지일 것입니다.

 

아파트 거래가 지속적으로 계속 이루어지면

가격은 올라갈 수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처음에 살았던 사람이 만약 3억에 팔았으면

나는 3억보다는 좀 더 많은 금액을 받고 팔고 싶은 게 당연한 심리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 아파트 중에서도 한 평수로 되어있는 아파트보다

여러 평수가 있는 아파트들이 가격이 조금 더 오를  확률이 있는 이유가

그 아파트 단지 내에서 30평대에서 40평대로 이사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똑같거나 비슷한 입지의 아파트라고 하더라도

다른 평수로 구성되어있는 아파트가 더 좋습니다.

 

 

둘째, 시세로 아파트 저평가 여부 파악하기

 

두 번째로 전체 시세를 보며 어떤 아파트가 저평가되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특히 학군이 좋은 지역들 같은 경우에는

생각보다 매매랑 전세 차이 금액이 적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사람들이 아파트 중에서도 어떤 평수에 들어갈지도 많이 고민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국민 평수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가장 수요가 많은 건

30평대입니다.

 

만약 돈이 조금 모자란다면 20평대에 들어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30평대는 이미 올랐는데 20평대는 제자리인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것은 그 아파트 단지 내에서 30평대에 비해 20평대가 저평가되어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근데 20평대가 아닌 10평대나 그 이하는 사실 아파트가 아니라

다가구나 빌라, 원룸과 경쟁을 해야 되기 때문에

이것은 입주물량이 파악이 안 되어서 리스크 제거가 힘듭니다.

 

그렇기에 웬만하면 20평대 이상으로 들어가는 게 좋습니다.

 

아파트를 찾는 기준에 학군이나 초등학교를 품은 아파트는 전혀 없습니다.

왜냐하면, 이 모든 것들은 아파트 시세 안에 전부 포함이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여러분들이 아파트 시세만 제대로 파악을 해서

저평가 여부를 찾으면 가장 빨리 지름길을 갈 수 있는 방법입니다.

 

그러니까 여러분들 지역 안에 입지가 좋은 곳들이 비싼 이유는

이미 학군이나 공기업, 대기업, 위치 여부, 초등학교를 품은 아파트 등이 모두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