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5 숨쉬기 힘들 때 기도폐쇄 응급 상황 대처법 인간의 몸은 호흡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산소를 공급해 주어야 살 수 있다. 이러한 호흡은 코와 입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흉곽 안의 폐로 전달되어 가스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말하며, 코와 입에서 폐로 공기가 전달되는 통로를 기도라 부른다. 기도폐쇄란 음식 조각이나 작은 장난감 같은 이물질이 기도를 부분적 또는 완전히 막아 호흡을 방해하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기도폐쇄는 치아가 없는 노인, 의식이 저하된 환자, 소아에서 흔히 발생되며, 음식을 먹을 때 웃거나 이야기를 하는 경우에도 발생될 수 있다. 성인 기도폐쇄일 경우 응급처치법 기도폐쇄는 부분적으로 기도가 폐쇄된 경우와 완전히 폐쇄된 경우로 나눌 수 있다. 부분적으로 이물질에 의하여 기도가 폐쇄된 경우에는 숨을 쉴 수는 있으나, 호흡 시에 색색거리는 거.. 2024. 2. 26. 생명을 구하는 자동제세동기 사용법 자동제세동기에서 제세동이란 심실세동이 발생된 심장에 강한 전류를 일시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심실세동을 종료시키고 심장이 다시 정상적으로 박동하도록 하는 전기 충격치료이다. 제세동을 꼭 해야만 할까? 심실세동이란 여러 가지 원인들로 인하여 심장이 매우 빠르고 불규칙하게 수축함으로써 실제적인 심박출량을 만들어 내지 못하고 떨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심실세동은 병원 이외의 장소에서 갑자기 발생한 성인 심정지 환자들에게서 가장 흔히 관찰되는 심장 리듬이다. 심실세동의 치료는 심장에 강한 전류를 일시적으로 통과시켜 심장이 다시 정상적으로 박동하도록 하는 제세동술을 시행하는 것이다. 제세동의 성공 가능성은 심실세동이 발생한 후 시간이 경과될수록 분당 7~10%씩 감소하기 때문에 심실세동에 의한 심정지 환자의 .. 2024. 2. 25. 긴급 상황 시 심폐소생술로 생명을 살리는 법 기본 심폐소생술에서 성인이라 함은 8세 이상을 의미하며, 소아는 1~8세까지의 어린이를 말하고, 1세 미만은 영아로 구분하여 지칭한다. 성인에서는 심장성 원인에 의하여 심정지가 발생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소아 및 영아에 비하여 빠른 제세동의 시행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의식확인과 도움요청하기 심장마비가 발생하면 환자는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지게 되며, 드물게는 전신 경련이 동반되거나 헐떡거리는 호흡이 발생하기도 한다. 심장마비를 목격하거나 의식이 없는 환자를 발견하게 되면 즉시 의식상태를 확인하고 119 구급대에 구조를 요청하여야 한다. 환자의 양쪽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큰 소리로 '여보세요. 정신 차리세요 또는 괜찮으세요?'라고 외치면서 환자의 반응을 확인한다. 반응확인과 함께 호흡을 확인한다. 이.. 2024. 2. 24. 반드시 알아야 할 심폐소생술 변경된 순서 심장마비 혹은 심정지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심장이 뛰지 않는 상태를 말하며, 최근 우리나라는 생활방식의 서구화에 따른 심장혈관질환의 증가로 인하여 심근경색 등에 의한 심정지 발생 가능성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심정지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장소 실제로 대한민국의 심장혈관질환 발생률은 1994년에는 인구 10만 명당 약 13명이었으나, 2004년에는 인구 10만 명당 약 26명으로서 10년 사이에 200% 이상 증가하였다. 더불어 최근에 급격한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인구구조가 표주박형의 고령화, 선진국형 인구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인구형태의 변화는 심정지의 발생률이 높은 인구구조 형태로의 변화를 의미한다. 심정지는 모든 사람에게 발생할 수 있으나 건강한 일반인의 경우에는 연간 발생률이 약 0.1.. 2024. 2. 23.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