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5

골절, 탈구, 염좌, 좌상의 증상과 치료법 근육골격계 손상은 골절, 탈구, 염좌, 좌상 등이다. 또한 근육 골격계 손상은 손상된 조직에 따라 구분되기도 하고 여러 형태의 손상이 복합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심한 무릎 손상은 뼈와 인대의 손상이 함께 발생하기도 한다. 골절과 탈구는 어떻게 다를까? 골절은 뼈가 부러지거나 파괴된 상태를 말한다. 골절은 사선골절, 분쇄골절, 나선골절, 복잡골절 이렇게 4가지 유형이 있는데 이 중 복잡골절을 제외한 나머지 3개의 골절을 폐쇄성 골절이라고 부르고 복잡골절만 개방성 골절이라고 부른다. 골절은 외부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힘에 의해 발생하지만 비틀림이나 근육 수축도 골절을 유발할 수 있다. 골절은 개방성과 폐쇄성으로 분류된다. 개방성 골절은 개방창을 동반하며, 뼈가 골절되면서 주변의 연부조직이나 피.. 2024. 3. 1.
삼각건 사용하는 법과 근육을 키워야 되는 이유 삼각붕대라고 불리는 삼각건의 사용법과 근육 골격계의 각 핵심이 되는 단어의 뜻을 본문을 읽기 전에 알아두면 이해하기 훨씬 편하다. 쇄골이란 가슴뼈와 어깨뼈를 연결하는 뼈를 말하며, 대퇴골은 무릎과 엉덩이 사이, 허벅지를 구성하는 뼈이다. 상완골은 어깨와 팔꿈치 사이의 뼈를 말하며, 전완골은 팔꿈치와 손목 사이의 뼈를 뜻한다. 머리, 어깨 및 엉덩이, 가슴과 등, 이마 삼각건 사용법 머리에 댄 드레싱을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특히 머리에 넓게 상처를 입었을 때 사용한다. 삼각건의 밑변 부위를 폭이 약 5cm 정도 되도록 접는다. 접은 부분의 중심이 이마 중앙의 눈썹 위에 오게 한다. 삼각건의 양끝을 머리 뒤로 돌려 감고 교차하여 다시 앞으로 오게 하여 이마 중앙에서 묶는다. 어깨나 위팔에 댄 넓은 드레싱.. 2024. 2. 29.
절단, 코피, 치아가 빠졌을 때 대처법과 붕대 감는법 상처를 통한 감염은 예방이 중요하다. 부상으로 인해 피부에 상처를 입었을 때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그 부위를 깨끗이 하는 것이 필요하다. 크지 않은 상처는 비누나 물로 닦으며, 대부분의 비누는 해로운 병균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절단, 코피, 입의 상처 응급처치법 손가락이나 다른 신체부위가 절단이 되었다면 그 부위를 찾아서 무균 거즈나 깨끗한 천으로 감싸서 비닐봉지에 담는다. 비닐봉지를 얼음 등에 넣어 보존하고 얼리지 말아야 한다. 가능한 한 빨리 절단부위를 환자와 함께 병원에 가지고 간다. 절단 부위가 물이나 얼음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해야 한다. 코피 같은 경우에는 둔한 물건으로 타격을 받아서 생기거나 피곤을 무릅쓰고 격하게 노동을 했을 때 코피가 난다. 고혈압이 있거나 고도의 변화로 인해 코피.. 2024. 2. 28.
필수로 알아야 하는 상처 응급처치와 지혈법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크고 작은 여러 가지 상처를 경험하게 된다. 작게는 날카로운 물건에 긁히기도 하고, 칼에 베이기도 하며, 뜨거운 물에 데거나, 한여름 해수욕을 하다가 가벼운 화상을 입기도 한다. 상처 깊이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정상적인 피부 구조가 파괴된 상태를 창상 혹은 상처라고 한다. 상처의 4가지 종류와 팁 흔히 멍든 상처를 말하는 타박상은 충돌이나 추락 등에 의해 생긴다. 피부 밑의 피하조직, 피하근막, 근육 등의 조직에 널리 좌상을 일으킨다. 상처부위가 빨간색으로 변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두운 빨강과 자주색으로 변한다. 뼈와 근육에 별다른 문제가 없다면 큰 문제없이 호전되는 것이 보통이며, 손상된 부위가 부어오른 것을 빨리 가라앉히기 위하여 찬물 등으로 찜질한다. 심한 충돌성 운동을 .. 2024. 2. 27.
반응형